주식하시는 분들. 예수금 많이 들어보셨죠? 이 예수금이 뜻하는게 바로 잔고 일까요??

 

1. 예수금이란?

예수금은 주식을 매수(사자)하기 위해 둔 돈이예요. 그래서 예수금의 "예"는 한자로 '미리(앞서, 먼저) 예 입니다. 주식을 구매하기 위해 미리 넣어둔 돈이라는 거죠. 왜 잔고라고 하지 않고 예수금이라고 할까요? 주식에서 잔고는 "주식" 입니다. 예수금은 말 그대로 주식을 살 수 있는 돈에 불과해서 잔고라고 하지 않죠.

 

HTS나 모바일에서 예수금 창을 살펴보면 D+1, D+2가 보일텐데요. 그렇다면, 여기에 나오는 예수금은 왜 다른걸까요?

일단 D+1, D+2 예수금을 이해 하기 위해선 주식 거래 시스템을 알아야 해요.

 

2. 주식 거래는 3일 걸린다!! D+1, D+2 예수금은?

주식은 오늘 사고 팔았다고 해서 물건을 사고 팔듯이 당일 매매가 되지 않습니다.

매수일로 부터 3일뒤에 돈이 빠져나가고 주식 잔고가 들어옵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예수금이 250만원이 있습니다.(증거금100%)
월요일에 A주식 100만원(10만x10주) 매수를 했다면, D+2일인 수요일에 예수금이 빠져나가고 주식이 들어옵니다.
그래서 월요일에 매매한 대금 100만원은 증거금으로 묶어두고 D+2는 150만원이 되죠.

그리고 화요일에 B주식 50만원(5만x10주) 매수를 했다면?
화요일에 D+1(수), D+2(목) 예수금은 어떻게 표기가 될까요?
D+1 : 150 (= 250-100)
D+2 : 100 (= 150-50)

 

3. 인출가능 금액은?

위의 예시대로라면 월요일 기준으로 인출 가능 금액은 얼마 일까요?

앞서 말씀드렸다 시피 예수금은 주식을 사기 위한 돈. D+2에 출금될 돈이예요.

그래서 주식 매매대금을 제외한 금액이 출금가능 금액입니다.

월요일 기준으로 출금가능 금액은? D+2의 예수금 150만원.

화요일 기준으로 D+2의 예수금인 100만원이죠.

 

 

예시로 이해가 되셨을까요? 위의 예시는 증거금 100%인 경우입니다.

증거금에 따라서 또 달라질 수 있어요.

오잉? 증거금은 또 뭐냐구요? 주식은 알수록 어렵지만, 한번 알아 두기만하면, 정말 쉬워요!

증거금률 30%다? 이렇게 되면 더욱이 계산이 복잡해지니, 이번글을 확실히 이해하시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 증거금률에 대해 살펴보면서 다시한번 D+1,2의 예수금을 한번 살펴보아요~

 

 

'주식을배워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코스닥 차이점  (0) 2022.09.02

주식 초보 주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배우는 코스피, 코스닥 차이점!!

화살표가 상승중 주식그래프

 

코스피 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유가증권시장본부에 상장된 주식 가격 변동 종합지표.=종합주가지수

 

상장조건

기업규모 : 자기자본 300억원 이상

상장 주식수 : 100만주 이상

기타 등등등.....

 

아무튼 엄청 큰 회사. 주로 대기업들 상장.

코스피 지수가 오르면 상장된 기업들도 평균적으로 올랐다고 봄.

 

 

 

 

코스닥 

Korea Securit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위원회가 운영. 

장외 거래 주식시장=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시장 외

 

상장조건

소액주주 500명&25%이상, 청구후공모 5%이상

자기자본 500억 이상, 소액주주 500명이상, 청구후 공모 10%이상 & 규모별 일정주식 수 이상

공모 25% & 소액주주 500명

 

외 여러가지 조건이 있지만 중략.

한마디로 벤처기업, 중소기업등 상장....

마찬가지로 코스닥 지수가 오르면 평균적으로 코스닥시장 주가가 오른것.

 

 

 

패드로 주식거래중인 정장입은 남자

 

 

 

주식 거래시 코스닥 코스피 차이

  거래수량 원 단위
코스피 10주 단위 500원
코스닥 1주 단위 100원

단, 시간외 시장에서 코스피도 1주단위 거래 가능.

 

 

 

 

왕초보 주식을 거래 하기 위해선 요정도만 맛보기로 알고 넘어가자구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