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우리 아이 옷, KC인증 확인하셨나요?

― 장난감만 인증 받는 게 아니에요!

아이들이 매일 입는 옷,
예쁜 디자인과 촉감만 고르셨다면 이제는 조금 다르게 봐야 할 때예요.
어린이 옷도 안전을 위한 'KC 인증'이 필수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이 글은 만 13세 이하 어린이 의류의 KC 인증 제도를 중심으로,
특히 만 3세 이하 유아복의 안전확인 절차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아동복 상의류

 

📌 어린이 옷도 KC인증 대상이에요

장난감처럼 우리 아이가 입는 옷 역시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법적 KC 인증 대상입니다.


연령대에 따라 KC 인증 방식이 다릅니다!

연령대인증 종류표시 사항
만 3세 이하 안전확인 대상 KC 마크, 인증번호, 제조년월, 사용연령(사이즈), 혼용율, 제조연월, 취급상 주의사항, 표시자 주소 및 전화번호, 제조자명 또는 수입자명
만 3세 초과 공급자 적합성 확인 대상 KC 마크, 제조년월, 사용연령 (인증번호 X 가능), 혼용율, 제조연월, 취급상 주의사항, 표시자 주소 및 전화번호, 제조자명 또는 수입자명
 

 

신생아 슈트

👶 만 3세 이하라면 '안전확인 대상'입니다

내의, 바디수트, 유아 잠옷, 유아용 이불, 가방 등은
국가 지정 시험기관에서 안전검사를 받은 뒤 국가에 신고하여 신고번호를 부여받은 제품만 유통 가능하며,
택(tag)또는 최소포장 단위에는 아래 항목이 정확히 표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KC 마크 + 인증번호 + 제조년월 + 사용연령 표기 필수!

KC 마크, 인증번호, 제조년월, 사용연령(사이즈), 혼용율, 제조연월, 수입자 또는 판매자명,
표시자 주소 및 전화번호, 취급상 주의사항

 


아기이불

 

🚨 KC 미인증 아동복, 실제 리콜 사례도 있어요

  • 2023년, 한 유아잠옷에서 포름알데히드 기준 초과 검출
  •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자극 유발 가능성
  • KC 미인증 제품 → 리콜 조치 & 과태료 부과

우리 아이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이니,
인증 유무는 꼭 체크해야 할 기본이겠죠?


 

반응형

부모가 꼭 확인해야 할 의류 구매 체크리스트

🛍️ 쇼핑몰이나 매장에서 어린이 옷을 살 때
다음 네 가지는 꼭 체크하세요!

1️⃣ KC 마크가 있는가?
2️⃣ 사용연령·제조년월이 표기되어 있는가?
3️⃣ 만 3세 이하라면 인증번호가 포함되어 있는가?
4️⃣ 판매자명 및 주소와 연락처(AS등 문제시 문의 가능한 고객센터)가 있는가?

💡 인증번호가 있다면 제품안전정보센터에서 조회해 볼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KC 인증은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우리 아이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입니다.

옷이 아무리 예쁘고 인기 있어도,
KC 마크가 없다면 사고의 위험은 언제든지 존재합니다.

디자인을 보기 전에,
KC 인증 정보를 먼저 확인하는 습관.
우리 모두 함께 만들어가요 😊

 

 

반응형

'KC인증 유치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KC인증은 왜 받아야 하나요?  (0) 2022.11.29
반응형

 

안녕하세요 마리아티스트 입니다.

코로나 이후로 집콕, 방콕 특히 어린이들이 집에만 있게 되면서 장난감이나 교구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었죠. 더불어 수요가 많아진만큼 공급도 많아졌는데요, 수입업자나 제조사들이 상당히 많아졌어요. 어린이 제품의 경우 어린이 KC인증을 받아야만 오픈마켓에 유통이 가능하지요. 특히 쿠팡은 이 인증 여부를 상당히 까다롭게 확인하고 입점을 시키고 있지요.

 

어린이 KC인증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인증 방법도 나뉘어 집니다.

사실 KC인증이라니 보기만해도 대체 이게 뭐야...아찔 하시죠?

 

이 어린이 KC인증은 대체 왜 받아야 할까요?

바로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 때문인데요, 약칭으로 <어린이제품법>입니다.

제1조(목적)을 요약하자면,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의 안전을 확보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위한 기본적 사항.
어린이 사고를 예방, 건강유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어린이 제품을 판단할까요? 

제2조(정의) 에서는 만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사용하거나 위하여 사용되는 물품 또는 그 부품이나 부속품 이라고 합니다.

물론 의약외품이나 의료기기 화장품등의 제외품목도 있어요.

 

 

어린 제품 안전인증을 받지 않고, 표시사항(라벨)도 표기 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소상공인들이 어떻게 법을 다 알고 판매를 하겠어요...처음에 적발되면 수거명령을 내리거나 제품안정성을 확보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경우....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라고 하네요...부들부들...우리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인 만큼 안정성에 대해 특별법으로 관리를 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이 어린이 KC인증! 종류는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마리아티스트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3칸 장난감 기차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