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하시는 분들. 예수금 많이 들어보셨죠? 이 예수금이 뜻하는게 바로 잔고 일까요??

 

1. 예수금이란?

예수금은 주식을 매수(사자)하기 위해 둔 돈이예요. 그래서 예수금의 "예"는 한자로 '미리(앞서, 먼저) 예 입니다. 주식을 구매하기 위해 미리 넣어둔 돈이라는 거죠. 왜 잔고라고 하지 않고 예수금이라고 할까요? 주식에서 잔고는 "주식" 입니다. 예수금은 말 그대로 주식을 살 수 있는 돈에 불과해서 잔고라고 하지 않죠.

 

HTS나 모바일에서 예수금 창을 살펴보면 D+1, D+2가 보일텐데요. 그렇다면, 여기에 나오는 예수금은 왜 다른걸까요?

일단 D+1, D+2 예수금을 이해 하기 위해선 주식 거래 시스템을 알아야 해요.

 

2. 주식 거래는 3일 걸린다!! D+1, D+2 예수금은?

주식은 오늘 사고 팔았다고 해서 물건을 사고 팔듯이 당일 매매가 되지 않습니다.

매수일로 부터 3일뒤에 돈이 빠져나가고 주식 잔고가 들어옵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예수금이 250만원이 있습니다.(증거금100%)
월요일에 A주식 100만원(10만x10주) 매수를 했다면, D+2일인 수요일에 예수금이 빠져나가고 주식이 들어옵니다.
그래서 월요일에 매매한 대금 100만원은 증거금으로 묶어두고 D+2는 150만원이 되죠.

그리고 화요일에 B주식 50만원(5만x10주) 매수를 했다면?
화요일에 D+1(수), D+2(목) 예수금은 어떻게 표기가 될까요?
D+1 : 150 (= 250-100)
D+2 : 100 (= 150-50)

 

3. 인출가능 금액은?

위의 예시대로라면 월요일 기준으로 인출 가능 금액은 얼마 일까요?

앞서 말씀드렸다 시피 예수금은 주식을 사기 위한 돈. D+2에 출금될 돈이예요.

그래서 주식 매매대금을 제외한 금액이 출금가능 금액입니다.

월요일 기준으로 출금가능 금액은? D+2의 예수금 150만원.

화요일 기준으로 D+2의 예수금인 100만원이죠.

 

 

예시로 이해가 되셨을까요? 위의 예시는 증거금 100%인 경우입니다.

증거금에 따라서 또 달라질 수 있어요.

오잉? 증거금은 또 뭐냐구요? 주식은 알수록 어렵지만, 한번 알아 두기만하면, 정말 쉬워요!

증거금률 30%다? 이렇게 되면 더욱이 계산이 복잡해지니, 이번글을 확실히 이해하시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 증거금률에 대해 살펴보면서 다시한번 D+1,2의 예수금을 한번 살펴보아요~

 

 

'주식을배워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코스닥 차이점  (0) 2022.09.02

지난 번 어린이 KC인증을 왜 받아야 하는지, 안받으면 어떤 처벌을 받아야 하는지 알아보았죠.

오늘은 본격적으로 어린이 KC인증의 종류를 알아볼거예요.

어린이 뿐 아니라 전안법 전체에도 적용되는 인증 종류니, 잘 알아보아요~

 

어린이 블럭 장난감

 

1. 공급자 적합성확인

어린이 제품이 안전한지,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스스로 확인하고 공급자적합성확인의 표시를 하는 제도입니다.

한 마디로 제품을 시험하고 안정성이 확보되면 "내 제품 안전한거야"라고 선언하는 제도이지요.

 

 

2. 안전확인

어린이 제품이 안전한지 시험검사 기관에서 안전성 시험하여 확인 받아야 합니다. 제품이 어린이제품 안전기준에 적합한지 시험후 안전인증기관에 신고를 하여 안전확인신고서를 받습니다. 이 안전확인 신고서에는 안전확인신고확인증 번호가 부여되며, 판매 유통시 표시사항을 기재하여야 하죠.

 

 

3.안전인증

어린이 제품이 안전한지 안전인증기관으로 부터 안전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이때, 제품검사와 공장심사를 모두 진행하여 안전성이 증명되어야 합니다. 이때 안전인증서가 부여되며 안전인증번호를 유통시 기재하여야 합니다.

 

공통점은 모두 어린이 제품을 시험기관에 보내어 안전성 시험을 해야 하는건데요, 어떤 제품에 대해 어떤 종류의 인증을 진행해야 하는지 또한 많이 고민되시죠?

인증에 따른 제품은 다음 글에서 자세히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