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리아티스트 입니다.

코로나 이후로 집콕, 방콕 특히 어린이들이 집에만 있게 되면서 장난감이나 교구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었죠. 더불어 수요가 많아진만큼 공급도 많아졌는데요, 수입업자나 제조사들이 상당히 많아졌어요. 어린이 제품의 경우 어린이 KC인증을 받아야만 오픈마켓에 유통이 가능하지요. 특히 쿠팡은 이 인증 여부를 상당히 까다롭게 확인하고 입점을 시키고 있지요.

 

어린이 KC인증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인증 방법도 나뉘어 집니다.

사실 KC인증이라니 보기만해도 대체 이게 뭐야...아찔 하시죠?

 

이 어린이 KC인증은 대체 왜 받아야 할까요?

바로 "어린이제품 안전 특별법" 때문인데요, 약칭으로 <어린이제품법>입니다.

제1조(목적)을 요약하자면,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의 안전을 확보하여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위한 기본적 사항.
어린이 사고를 예방, 건강유지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어린이 제품을 판단할까요? 

제2조(정의) 에서는 만 13세 이하의 어린이가 사용하거나 위하여 사용되는 물품 또는 그 부품이나 부속품 이라고 합니다.

물론 의약외품이나 의료기기 화장품등의 제외품목도 있어요.

 

 

어린 제품 안전인증을 받지 않고, 표시사항(라벨)도 표기 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소상공인들이 어떻게 법을 다 알고 판매를 하겠어요...처음에 적발되면 수거명령을 내리거나 제품안정성을 확보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경우....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라고 하네요...부들부들...우리 아이들이 사용하는 제품인 만큼 안정성에 대해 특별법으로 관리를 하고 있는데요. 앞으로 이 어린이 KC인증! 종류는 무엇이고 어떻게 진행해야 할지 마리아티스트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3칸 장난감 기차

 

우리가 매일 즐기는 주류. 술의 종류는 정확하게 알고 계신가요?

이전 글로 이동하여 주류 종류 를 먼저 파악해 볼까요?

2022.11.10 - [술_제대로마셔봐] - 술의 종류 _양조주, 증류주, 혼성주

 

 

주류에서 알콜 농도라 함은 온도 15도씨일때 원용량 100분 중 함유하는 에틸알코올의 용량을 말합니다. 이러한 알코올 농도를 표시하는 방법은 각 나라마다 그 방법을 달리하나 현재 일반적으로 전세계의 술에 표시되고 있는 알코올 농도는 푸르푸와 프랑스의 게이 뤼삭이 고안한 용량분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영국의 도수 표시법

영국시 도수 표시는 사이크가 고안한 알코올 비중계에 의한 사이크 프루프로 표시합니다. 이것은 50º에 있어서 같은 용량의 증류수의 12/13의 중량을 가진 스피리트를 알코올 함유 음료의 표준강도라고 하며, 이것을 한국 도수로 계산하면 57.1%가 됩니다. 이 스프리트를 100으로 해서 물이 0일 때 순수 에틸알콜을 175등분하여 100을 초과한 것은 오버 프루프, 100을 초과하지 않는 것은 언더 프루프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다른 나라에 비해 대단히 복잡해서 최근에는 수출품목 상표에 영국식 도수를 표시하지 않고 미국식 프루프를 사용합니다.

 

2. 미국의 도수 표시 방법

미국의 술은 강도표시를 프루프 단위로 사용합니다. 60ºF에 있어서의 물을 0으로 하고 순수 에틸 알콜을 200 프로프로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주정도를 2배로 한 숫자로 100프루프는 주정도의 50%란 의미죠.

 

3. 독일의 도수 표시 방법

독일은 윈디쉬가 고안한 중량비율을 사용합니다. 100g의 액체 중 몇 g의 순 에틸알콜이 함유되어 있는가를 표시하죠. 술100g 중 에틸 알콜이 40g 들어 있으면 40%의 술이라고 표시합니다.

 

4. 우리나라의 도수 표시 방법

스프리트가 완전히 에틸알콜일 때를 100으로 해서 이것을 100등분으로 표시한 것입니다. % 또는 "와 같은 표기입니다.

 

5. 칵테일의 알콜 도수 계산방법

흔히 여러 술을 섞으면 알콜 도수가 강한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잘못 알고 있는 상식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의 폭탄주나 칵테일을 만들어 마시면 오히려 주정 도수가 낮아집니다. 여러가지 섞은 술의 알콜 도수 계산법을 볼까요?

 

(재료 알콜도수 X 사용량) + (재료 알콜도수 X사용량) / 총사용량

 

예를 들어볼까요?

위스키 40%   30ml
맥   주    4%  300ml

▶ (40x30)+(4x300)/330=7.2%

 

폭탄주나 칵테일 제조하여 섭취시, 적정 주량을 생각해서 마시도록 해야겠습니다.

'술_제대로마셔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의 종류 _양조주, 증류주, 혼성주  (0) 2022.11.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