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아이 옷, KC인증 확인하셨나요?

― 장난감만 인증 받는 게 아니에요!

아이들이 매일 입는 옷,
예쁜 디자인과 촉감만 고르셨다면 이제는 조금 다르게 봐야 할 때예요.
어린이 옷도 안전을 위한 'KC 인증'이 필수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 이 글은 만 13세 이하 어린이 의류의 KC 인증 제도를 중심으로,
특히 만 3세 이하 유아복의 안전확인 절차를 쉽게 정리했습니다.


 

아동복 상의류

 

📌 어린이 옷도 KC인증 대상이에요

장난감처럼 우리 아이가 입는 옷 역시
「어린이제품안전특별법」에 따라 법적 KC 인증 대상입니다.


연령대에 따라 KC 인증 방식이 다릅니다!

연령대인증 종류표시 사항
만 3세 이하 안전확인 대상 KC 마크, 인증번호, 제조년월, 사용연령(사이즈), 혼용율, 제조연월, 취급상 주의사항, 표시자 주소 및 전화번호, 제조자명 또는 수입자명
만 3세 초과 공급자 적합성 확인 대상 KC 마크, 제조년월, 사용연령 (인증번호 X 가능), 혼용율, 제조연월, 취급상 주의사항, 표시자 주소 및 전화번호, 제조자명 또는 수입자명
 

 

신생아 슈트

👶 만 3세 이하라면 '안전확인 대상'입니다

내의, 바디수트, 유아 잠옷, 유아용 이불, 가방 등은
국가 지정 시험기관에서 안전검사를 받은 뒤 국가에 신고하여 신고번호를 부여받은 제품만 유통 가능하며,
택(tag)또는 최소포장 단위에는 아래 항목이 정확히 표시되어 있어야 합니다.


KC 마크 + 인증번호 + 제조년월 + 사용연령 표기 필수!

KC 마크, 인증번호, 제조년월, 사용연령(사이즈), 혼용율, 제조연월, 수입자 또는 판매자명,
표시자 주소 및 전화번호, 취급상 주의사항

 


아기이불

 

🚨 KC 미인증 아동복, 실제 리콜 사례도 있어요

  • 2023년, 한 유아잠옷에서 포름알데히드 기준 초과 검출
  •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자극 유발 가능성
  • KC 미인증 제품 → 리콜 조치 & 과태료 부과

우리 아이 피부에 직접 닿는 제품이니,
인증 유무는 꼭 체크해야 할 기본이겠죠?


 

부모가 꼭 확인해야 할 의류 구매 체크리스트

🛍️ 쇼핑몰이나 매장에서 어린이 옷을 살 때
다음 네 가지는 꼭 체크하세요!

1️⃣ KC 마크가 있는가?
2️⃣ 사용연령·제조년월이 표기되어 있는가?
3️⃣ 만 3세 이하라면 인증번호가 포함되어 있는가?
4️⃣ 판매자명 및 주소와 연락처(AS등 문제시 문의 가능한 고객센터)가 있는가?

💡 인증번호가 있다면 제품안전정보센터에서 조회해 볼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KC 인증은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우리 아이의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기준입니다.

옷이 아무리 예쁘고 인기 있어도,
KC 마크가 없다면 사고의 위험은 언제든지 존재합니다.

디자인을 보기 전에,
KC 인증 정보를 먼저 확인하는 습관.
우리 모두 함께 만들어가요 😊

 

 

주식하시는 분들. 예수금 많이 들어보셨죠? 이 예수금이 뜻하는게 바로 잔고 일까요??

 

1. 예수금이란?

예수금은 주식을 매수(사자)하기 위해 둔 돈이예요. 그래서 예수금의 "예"는 한자로 '미리(앞서, 먼저) 예 입니다. 주식을 구매하기 위해 미리 넣어둔 돈이라는 거죠. 왜 잔고라고 하지 않고 예수금이라고 할까요? 주식에서 잔고는 "주식" 입니다. 예수금은 말 그대로 주식을 살 수 있는 돈에 불과해서 잔고라고 하지 않죠.

 

HTS나 모바일에서 예수금 창을 살펴보면 D+1, D+2가 보일텐데요. 그렇다면, 여기에 나오는 예수금은 왜 다른걸까요?

일단 D+1, D+2 예수금을 이해 하기 위해선 주식 거래 시스템을 알아야 해요.

 

2. 주식 거래는 3일 걸린다!! D+1, D+2 예수금은?

주식은 오늘 사고 팔았다고 해서 물건을 사고 팔듯이 당일 매매가 되지 않습니다.

매수일로 부터 3일뒤에 돈이 빠져나가고 주식 잔고가 들어옵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예수금이 250만원이 있습니다.(증거금100%)
월요일에 A주식 100만원(10만x10주) 매수를 했다면, D+2일인 수요일에 예수금이 빠져나가고 주식이 들어옵니다.
그래서 월요일에 매매한 대금 100만원은 증거금으로 묶어두고 D+2는 150만원이 되죠.

그리고 화요일에 B주식 50만원(5만x10주) 매수를 했다면?
화요일에 D+1(수), D+2(목) 예수금은 어떻게 표기가 될까요?
D+1 : 150 (= 250-100)
D+2 : 100 (= 150-50)

 

3. 인출가능 금액은?

위의 예시대로라면 월요일 기준으로 인출 가능 금액은 얼마 일까요?

앞서 말씀드렸다 시피 예수금은 주식을 사기 위한 돈. D+2에 출금될 돈이예요.

그래서 주식 매매대금을 제외한 금액이 출금가능 금액입니다.

월요일 기준으로 출금가능 금액은? D+2의 예수금 150만원.

화요일 기준으로 D+2의 예수금인 100만원이죠.

 

 

예시로 이해가 되셨을까요? 위의 예시는 증거금 100%인 경우입니다.

증거금에 따라서 또 달라질 수 있어요.

오잉? 증거금은 또 뭐냐구요? 주식은 알수록 어렵지만, 한번 알아 두기만하면, 정말 쉬워요!

증거금률 30%다? 이렇게 되면 더욱이 계산이 복잡해지니, 이번글을 확실히 이해하시고 넘어가셔야 합니다.

다음 글에서 증거금률에 대해 살펴보면서 다시한번 D+1,2의 예수금을 한번 살펴보아요~

 

 

'주식을배워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코스닥 차이점  (0) 2022.09.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