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의 주체 - 가계, 기업, 정부, 외국
주체는 크게 가계, 기업, 정부, 외국으로 나뉜ㄴ다. 가계는 일반 가정에서 가족구성원이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얻은 대가의 소득으로 소비활동을 주로 한다. 기업은 주로 제품(서비스)을 생산 하는 활동의 주체로 볼 수 있다. 물론 가계는 소비 활동만 하고 기업은 생산 활동만 하지 않는다. 모든 경제 주체는 생산, 분배, 소비 활동을 모두한다.

그런데 가계와 기업이 경제 활동의 주체라는 데에는 쉽게 동의하겠지만, 정부와 외국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을 것이다. 어떻게 정부외 외국이 경제 주체일까?
정부는 소비와 생산을 도시에 하는 경제 주체이다. 국민을 위해 어떤 것을 생산해 내기도 하며(ex.공공재 - 고속도로, 다리, 학교 등) 기업이 생산한 것을 소비하기도 한다. 정부에서도 일을 하려면 많은 물품(ex.동사무소 공무원들의 책상, 의자, 컴퓨터 등)
외국 역시 경제 활동의 주체가 되는데, 우리 나라에서 생산한 물건을 외국에서 수입해 가거나 반대로 우리에 외국의 물건을 수출(판매)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경제활동의 객체 - 재화, 서비스, 생산 자원
경제 활동의 객체는 경제 주체들이 생산, 분배, 소비하는 대상이다. 크게 재화(상품)란 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물질적인 형태이다. 입고 있는 옷, 휴대폰, 책, 커피 등 모든것이다.  서비스는 형태가 없다. 의사의 진료나 경찰의 치안 등이다. 생산 자원 역시 경제 활동의 객체가 되는데, 생산 자원이란 상품을 생산하는 데 투입되는 모든 것이다. 생산 요소라고도 불리며, 이는 인적자원, 자연자원, 자본으로 나눈다. 경제 주체인 기업이 직원을 고용하고, 어떤 물건을 사용하여 자연 자원으로부터 어떤 물건을 생산해 낸다.


 

모든 사람이 하는 행동에는 수많은 경제 활동이 포함되어 있다. 경제 활동이란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인간의 모든 활동을 이야기한다. 따라서 우리의 활동이 곧 경제활동이다.

인간의 활동 = 경제 활동

 

 

 

동전

 

 

생산

 

생산이란 말에서 그대로 알 수 있듯, 쓸모 있는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것.

나무를 베어 책상을 만들거나 손뜨게로 옷을 만들어 내는 것도 생산이다. 그런데 이 생산이란 것이 우리 눈에 보이는 것만 만들어 내는 것이라면 괜찮은데 아쉽게도 그렇지 않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것도 생산이라고 한다. 구체적인 예가 바로 의사의 진료. 결과문을 두 눈으로 명백하게 확인 할 수 는 없다. 몸이 좋지 않아졌다고 느끼고 의사는 누군가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행동 모두 생산이다.

 

생산 : 생활에 필요한 무엇인가를 만들어내거나, 그 가치를 증대시키는 일

글을 읽으며 지식을 얻어가는 당신도 지금 생산활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 이 블로그의 글을 모두 읽으며 당신은 최소한의 경제지식을 쌓는 지식생산활동을 하게되는 것이다!

계산기와 재무관리

분배

생산 활동을 하게 되면 그 반대 급부로 우리는 보상을 받는다. 의사들은 진료비를 받게되며, 물건을 생산 하면 물건에 해당하는 돈을 받게 된다. 의사는 진료비를 받게되고, 물건을 생산했다면, 물건의 가격을 받는다. 내가 누군가에게 돈을 빌려주었다면 그 대가로 이자를 받고, 하루종일 열심히 회사에서 일한 당신은 그 대가로 시원한 치맥을 마실 수 있는 급여를 받게 된다. 이렇게 생산에 참여하여 그 대가를 받는 것을 분배활동이라 한다. 이 과정에서 소득이 사람들에게 나누어지고, 그 결과 우리는 필요한 물건을 사거나 서비스를 받는 등 소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분배 : 생산에 참여하여 그 대가를 받는 것

 

 

 

 

소비


소비 활동이란 누군가 생산한 것을 내가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것이다. 치킨을 먹거나 진료를 받기 위해 우리는 돈을 지불한다. 돈을 지불하고 원하는 물건 재화 서비스를 제공받는 활동을 바로 소비라고 한다.

 

소비활동 : 일정한 대가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것

 

 

저축

하지만 우리는 급여를 받아 모두 사용하지 않는다. 물론 먹고 싶고 사고 싶은것들이 무수하지만 미래에 여행을 가거나 학비를 내기 위해 금융 기관에 저축을 한다. 이렇게 분배된 소득 중 소비되지 않은 것을 우리는 "저축"이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저축이란 우리가 은행에 돈을 맡기는 행위가 아니다. 소득 중 지출하고 남은 부분을 모두 저축이라 부르며, 최종적으로 이 저축된 돈은 모두 소비된다고 볼 수 있다.

 

저축 : 소득에서 지출하고 남은 모든 부분

 

 

 

 

지금까지 개념이 모호했던 경제에 대한 3가지 활동인 생산, 분배, 소비의 기본 개념을 알아보았다. 이 세 활동은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후 글에서 다룰 "삼면 등가의 법칙"과 연결되니 관계가 있구나~라고 알아두자.

+ Recent posts